Processing math: 100%
본문 바로가기

nand2tetris3

메모리 조합칩 : 다양한 입력에 대한 출력을 내는 칩 순차칩 : 출력이 현재 시점과 이전에 처리했던 입출력에도 영향을 받는 칩 시간의 진행 틱, 톡 이라는 2진 신호를 연속적으로 생성하는 클럭을 이용해 모델링 가능하다. 주기 : 틱의 시작과 톡의 종료 사이의 시간 → 모든 메모리 칩의 작동을 조절 메모리장치 컴퓨터 프로그램은 변수와 같은 데이터를 유지하는 추상화 개념을 지원하며 이는 메모리를 통해 구현된다. 클록과 0과 1사이를 왔다 갔다 거리는 시간의존적 게이트를 통해 논리게이트가 상태를 유지하고 시간이 변함에 따라 응답하도록 한다. 이러한 게이트를 데이터 플립 플롭 DFF (모든 메모리 칩을 만드는데 기본구성블록)이라 불린다. 순차 논리 시간에 따라 기억하는 능력을 칩들은 가져야 한다. 시간의 문제 지연이 .. 2024. 2. 6.
불 연산 산술연산 범용 컴퓨터 시스템은 부호있는 정수에 대해 최소한 다음의 산술연산을 수행해야한다. 덧셈 부호변환 뺄셈 비교 곱셈 나눗셈 덧셈은 간단한 연산이지만 의미가 깊다. 산술연산을 포함하여 디지털 컴퓨터에서 수행되는 모든 함수는 2진수의 덧셈으로 환원가능하다. ⇒ 컴퓨터 연산을 이해하는데 핵심적 역할 2진수 10011=124+023+022+121+120 컴퓨터 내부에서 모든 것은 2진 코드로 표현된다. 인간은 10진수가 편하기때문에 2진수를 10진수로 바꾸는 작업이 필요하고 컴퓨터는 2진수가 편학시 때문에 10진수를 2진수로 바꾸는 작업이 필요하다. 고정단어크기 정수는 무한하다. 하지만! 컴퓨터는 고정단어크기를 사용해야하는 유한한 기계이다. 단어크기란 일반적인 하드웨어 용어로 컴퓨터.. 2024. 1. 18.
불 논리 모든 디지털 기기는 모두 2진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하도록 설계된 칩들을 탑재한다. => 표준 게이트칩들은 계산처리 및 메모리 칩을 구성하는데 사용된다. 불 대수 참거짓과 같은 불 2진 값을 다루는 대수 불 연산자 : Or And Not 가장 기본 불함수 불 함수 : 2진수를 받아 2진수를 출력하는 함수를 말하며 불연산자를 통해 만들 수있다. 컴퓨터는 2진수를 처리하는 하드웨어이므로 불 함수는 컴퓨터에서 중심 역할을 한다. Nand ⇒ Or, And, Not ⇒ 모든 불함수 (이때 변수는 2개) 진리표와 불표현식 불 함수는 진리 표와 불 표현식을 통해 표현가능하다 진리표 : 어떤 세상의 상태를 기술하는데 편리한 형식이다. 불표현식 : 실리콘에 구현하는데 편리한 형식이다. 진리표에서 불표현식으로 불표현식에서.. 2024. 1. 15.